지난 시즌을 앞두고 신한은행은 FA로 풀린 팀의 에이스 김단비와 재계약에 불발되며 힘든 시즌을 보내야 했다. 공수의 핵이었던 김단비의 부재는 곧 전력 약화로 이어졌기 때문. 김단비의 보상 선수로 김소니아가 오긴 했지만 그 누구도 신한은행의 플레이오프 진출을 예측하지 않았다.
2023~2024 여자프로농구에서 새 유니폼을 입고 뛰는 선수 중 누가 가장 빼어난 활약을 펼칠까. 지난 시즌까지 신한은행에서 뛰었다가 비시즌 트레이드를 통해 우리은행에 영입된 유승희가 첫 손에 꼽힌다. 유승희는 지난달 6개 구단 선수, 팬, 미디어 관계자들이 뽑은 올 시즌 활약이 가장 기대되는 이적 선수로 뽑혔다.
‘어우국(어차피 우승은 국민은행)’일까. ‘어우우(어차피 우승은 우리은행)’일까. WKBL(한국여자농구연맹) 우리WON 2023-2024 여자프로농구가 오는 5일 개막되는 가운데 청주 국민은행과 아산 우리은행이 절대 2강으로 꼽히고 있다.
에이스 외에도 반드시 해줘야 할 선수가 있다. 세상을 살다보면, 여러 가지 일들이 있다. 남들의 눈에 띠는 일도 중요하지만, 부수적으로 일어나야 하는 일들이 반드시 있다.
여자 프로농구가 드디어 5일 개막한다. 올 시즌을 앞두고 역대급이라 할 수 있을 정도의 많은 13명의 선수들이 유니폼을 바꿔 입으면서 각 팀들의 경기력이나 전술에도 적지 않은 변화가 예고된 상황이다. 여기에 각종 부상을 딛고 재활을 마친 후 팀에 복귀하는 기존 주전들의 정상적인 합류가 가장 중요한 요인임은 물론이다.
인천 신한은행은 2020~2021시즌부터 두 시즌 연속 플레이오프에 올랐다. 모두의 예상을 깬 성과였다. 두 시즌 모두 개막 전부터 ‘플레이오프 탈락 후보’ 혹은 ‘최하위 후보’로 꼽혔기 때문. 하지만 2019~2020시즌에 부임한 정상일 전 신한은행 감독이 ‘강한 수비’와 ‘빠른 농구’라는 틀을 잘 만들었고, 2021~2022시즌에 부임한 구나단 신한은행 감독이 디테일을 가미했다.